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home 알림광장

알림광장

보험산업 '지속가능'키워드… "디지털化·소비자보호·혁신"의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첨부된 파일 테이블입니다.
제목 보험산업 '지속가능'키워드… "디지털化·소비자보호·혁신"
작성자 보험개발원 등록일 2021-03-08 조회수 275
첨부된 파일

보험硏, '포스트코로나시대 보험산업 대토론회'… 보험산업 지속가능성 위해 기업효율성 극대화, 인가규제 혁신 등 필요

[insura] "디지털(MZ)세대가 사회의 중심으로 자리 잡고 있다. 보험상품을 과거 방식으로 팔아서 되겠는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 보험 서비스를 디지털 환경에서 제공할 수 있느냐가 보험산업 발전을 좌우하게 될 것이다. 여기에 코로나 대충격으로 디지털 시대에 들어선 보험산업은 경제, 인구, 위험 인지, 소비자 신뢰, 규제 등을 평가할 때 산업의 지속가능성이 위협받고 있다."


5일, '포스트 코로나 시대 보험산업 대토론회'서 김헌수 순천향대 교수가 강조한 말이다.


보험연구원이 주최, 유튜브 생중계로 진행된 이날 행사는 코로나19 팬데믹 위기극복을 넘어 이후 환경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보험산업 미래를 논의하기 위해 열렸다.


특히 보험산업이 저금리·과다유동성 시대, 비대면 문화, 불확실성과 변동성의 상시화, 빅테크 진입 및 인슈어테크 확장으로 인한 경쟁심화에 직면해 있다는 분석이다.


설상가상 코로나19가 안정기에 접어들어도 그 이전으로 되돌리기 어려울 수 있다는 전망이다.


임종룡 前금융위원장도 기조연설을 통해 "보험산업은 상품, 채널, 자본의 대대적 구조개혁에 나서야한다"며 "보험산업은 혁신성보다는 안정성에 익숙하다는 느낌을 받았는데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 역시 뒷받침 해야한다"며 "투자 규제를 대폭 개선하고 디지털화를 위한 제도 규제 관행도, 보험 인프라의 개혁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주제발표(보험산업 지속가능한가?)를 맡은 김헌수 교수는 위기 돌파 수단으로 기업 효율성과 정부 규제의 8대 혁신과제를 제시했다. ▲인가제도 검토 ▲진입·퇴출 혁신 ▲가격·상품 통제 ▲신자본 규제 ▲소비자 신뢰 ▲신상품 도입 ▲해외시장 도전 ▲디지털소비자와 소통 등이 그것.


김 교수는 먼저 인가제도를 검토해 디지털소비자의 다양한 니즈에 대응하고 기업 효율성을 극대화하도록 다양한 사업기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보험업 허가를 종목별로 열거하는 포지티브방식서 네거티브방식으로 전환하고, 비의료건강서비스, 디지털 관련 빅데이터, AI 등 IT 업무를 포함토록 인가규제의 혁신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또한 진입과 퇴출을 원활하게 하고, 특히 사업조정에 필요한 계약이전 인프라를 마련하고 잔존계약(run-off)시장에 대한 규제를 혁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김 교수 정부의 가격 통제엔 엄격한 원칙을 적용해 시행돼야 하며, 상품개발 통제는 최대한 자제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 교수는 "가격담합이나 심각한 정보 비대칭 발생 등 엄격한 기준을 통과한 경우에만 보험료 규제를 시행토록 하고 네거티브방식으로 불필요한 상품규제는 제거하고, 상품개발 리스크는 기업의 책임이므로 보험사의 자본력 강화 및 자체 부채조정을 유도하는 규제 혁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자본 규제와 관련해선 일관성과 투명성을 유지해 규제의 예측가능성을 제고함으로써 보험사의 건전경영을 유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투명하고 예측 가능한 K-ICS 도입 로드맵 구축과 감독당국의 건전성 감독에 대한 실효성 확보를 강조했다.


또한 김 교수는 소비자 신뢰를 위해 상품비교, 거래 신속성, 피드백 중시 소비자에 대한 약관, 모집, 공시 관련 규제 혁신이 필요함을 지적했다.


김 교수는 "평균적인 소비자가 보험 구매부터 보험금 지급까지 쉽게 이해해야 신뢰 구축이 가능하다"며 "금융소비자보호법을 기본으로 엄격한 소비자보호 감독을 지속하는 가운데, 자기책임원칙에 따라 구매 의사결정을 내리도록 소비자 교육을 지속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신상품 도입을 위해선 미래 세대에 필요한 헬스케어서비스와 한국형 톤틴연금을 개발하고, 나아가 고용연금(ESA) 도입을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1단계 고용보험, 2단계 민영 고용연금(ESA: Employment Saving Account)의 복층 구조 고용안전망을 구축, 도덕적 해이를 줄이면서도 안전망 사각지대에 놓인 자영업자를 포괄하는 고용보험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한 노후소득 보장을 위해 경쟁적인 보험료가 제공될 수 있는 한국형 톤틴연금을 개발하고, 노인 장기요양의 재정부담을 완화할 민영보험 활성화와 보험사의 노인요양사업 참여를 유인할 것을 제안했다.


비의료 헬스케어서비스는 실질적인 건강 편익을 제공하므로 의료관련법을 정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국내 보험사의 해외시장 비중은 보험료의 2%에 불과한 실정으로 해외시장 개척을 적극 유도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일본 보험사의 경우 다이이치생명과 메이지야스다생명의 해외시장 비중은 수입보험료의 18%와 10%를 차지하고 있다. 동경해상은 이익의 46%를 해외사업에서 거두고 있다.


디지털소비자와 소통을 위해선 디지털(MZ)세대가 우리 사회 중심이 되고 있으므로 이들과 소통하려는 디지털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디지털소비자가 요구하는 보험서비스를 디지털환경에서 제공할 수 있느냐가 핵심"이라며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속적인 온라인 접촉으로 고객의 긍정적 경험 확대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혁신을 통해 정부와 감독당국이 마련한 제도를 바탕으로 기업이 시장을 개척한다면 보험업계 지속 성장은 유효하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의 토론도 이어졌다.


박소정 서울대 교수는 "MZ세대가 본격적으로 소비자로 등장하고 있는데 보험산업의 디지털 혁신은 S자 커브의 바닥 부분으로 보인다"며 "다양한 제반을 갖췄을 때 급격한 성장을 이룰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보험산업의 지속 가능성에 대해선 "보험업은 위험이 있는 한 존재할 것"이라며 "휴대폰 판매가 늘면서 휴대폰 분실 보험 등이 등장했듯이 새 영역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민기식 푸르덴셜생명 대표는 "모든 산업의 유통 과정이 바뀌고 있는 가운데 여전히 보험설계사 위주인 보험산업은 유통 비용이 높을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앞으로 금융시장 주력 소비계층으로 부상하게 될 MZ세대가 비싼 유통 비용과 현재의 대면 채널을 받아들일 것인지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실패를 용인하는 문화가 선행돼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민 대표는 "푸르덴셜은 해외 진출한 국가 가운데 한국서만 성공을 거뒀다"며 "해외에 진출한 뒤 한 군데서라도 실패하면 다시는 진출을 하지 않는 생각을 바꾸지 않는한 국내 보험사의 국제화는 어려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치용 밀리만코리아 대표는 "코로나19로 탈영역화가 가속화되면서 IT회사들이 보험시장을 공략하고 있으며 한국에 영업망이 없더라도 외국보험사들이 국내에 진입할 수도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사고방식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는 상황서 아직도 많은 보험사들의 경영계획은 단기적이고 과거 트렌드 분석에 기초하고 있다"며 "앞으로 경영계획에 대해서도 혁신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문화 삼성화재 전무는 "글로벌 보험사를 보면 1년·2년 단위 단기성과가 아니라 3~5년 단위로 수익을 따져 사업 가능성을 평가한다"며 "국내 보험사도 해외 진출시 이 같은 전략이 필요해 보인다"고 소개했다.


이창욱 금감원 국장은 보험산업의 미래와 지속가능성에 대해 너무 비관적으로만 볼 필요는 없다는 점을 당부했다.


이 국장은 "보험산업 대위기를 둘러싼 저성장·저금리·고령화 등 환경적 요인은 이미 10여 년 전부터 반복적으로 나온 이야기"라며 "유럽·미국·일본 등 선진국의 글로벌 보험사들이 여전히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는 점에 비춰 볼 때 절대적으로 보험산업에 위험 요인이라고만 보기는 어렵다"라고 진단했다.


이어 "포스트 코로나가 아닌 위드 코로나 시대를 헤쳐 나갈 전략과 목표를 세우는 접근 방향이 맞을 것으로 보인다"라며 "새로운 환경에서 저비용 고효율을 추구할 방안을 찾는 게 보험산업이 지속 가능하기 위한 해법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패널토론엔 장동한 건국대 교수, 김대환 동아대 교수, 김해식 보험연구원 실장, 민기식 푸르덴셜생명 대표, 박소정 서울대 교수, 안치홍 밀리만코리아 대표, 이문화 삼성화재 전무, 이병윤 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이창욱 금감원 국장이 참가했다.  


[유은희 기자 reh@]



<ⓘ보험일보(www.insura.net)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