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home 알림광장

알림광장

4050세대 자산구조 "부동산 편중↑"… 老後생활자금 확보 한계의 제목, 작성자, 등록일, 조회수, 첨부된 파일 테이블입니다.
제목 4050세대 자산구조 "부동산 편중↑"… 老後생활자금 확보 한계
작성자 보험개발원 등록일 2021-01-12 조회수 85
첨부된 파일

보험開 '은퇴시장 리포트', 실물자산 90%이상이 부동산… 공적연금, 은퇴전 소득 21% 불과 "연금저축 등 다양한 소득원천 확보 중요"


[insura] 은퇴를 앞둔 40·50대 10명 중 3명 정도만 노후준비가 충분한 것으로 조사됐다. 직장인의 경우 은퇴 후 퇴직급여를 받지만 이 금액만으로는 자녀교육과 결혼을 준비하기에 턱없이 모자란 것으로 분석됐다.


또 은퇴자들은 소득 감소로 타격을 받으나 노인 3명 중 2명은 금전적 도움을 받을 상대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보험개발원은 '2020 KIDI 은퇴시장 리포트'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수도권 및 광역시 거주 30~50대 비은퇴자(전국 700명 대상)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통계청·국민연금연구원·보건복지부·경제협력개발기구 통계 등을 토대로 작성됐다.


우리나라의 인구구조는 5년내 초고령사회 진입할 것으로 예상됐다. 현재 인구구조는 30~50대(전체 인구 중 43.6%)가 두터운 항아리형 형태를 보이고 있지만, 점차 60세 이상이 두터워지는 역삼각형으로 변화한다는 예측이다.


이에 따라 2025년부터는 65세이상 고령인구가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0% 이상인 초고령사회로 들어설 것으로 관측됐다.


아울러 보고서는 부동산에 집중된 자산 구조 탓에 노후 생활자금 부족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4050세대는 우리나라 전체 가구 자산의 53.3% 및 부채의 60.2%를 보유·부담하고 있는데, 이들 자산의 경우 금융자산(26.5%)보다 실물자산(73.5%) 보유현황이 편중돼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이 같은 실물자산의 90% 이상이 부동산으로 구성돼 향후 노후생활자금 마련에 유동성 제약이 우려된다는 설명이다.


또 4050세대의 대부분인 노후준비가 필요하다고 응답(94.9%)하였으나, 충분한 노후준비가 되어있는 응답자는 31.3%에 불과했다.


2019년 기준 국민연금(노령연금) 수급자의 소득대체율은 21.3%로 추정되며, 공적연금만으로는 노후준비가 충분하지 못한 상황이다. 4050세대의 노후준비 방법으로 공적연금(51.0%) 활용도는 높은 편이었지만, 이에 비해 연금보험 등 사적연금 활용(7.2%)도는 낮은 편이었다.


반면 은퇴 후 예상되는 지출은 높은 편이었다. 자녀 교육비(6989만원), 자녀 결혼비(1억194만원) 등의 지출이 예상되며 평균 퇴직급여 9466만원으로 충당하기에는 부족한 형편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9 가계금융복지조사' 자료를 보면 가구 소득(근로소득, 사업소득, 재산소득, 이전소득)은 은퇴 전 평균 6255만원에서 은퇴 후 2708만원으로 감소했다. 은퇴 후 소득은 부부의 최소생활비를 대기에도 빠듯한 셈.


은퇴 후에는 응급상황이 벌어졌을 때 경제적 도움을 받을 관계도 취약했다. 통계청 분석결과, 65세 이상 노인 대부분은 '아파서 집안일을 부탁할 상대'(74.5%)와 '우울할 때 이야기할 상대'(72.6%)가 있지만 '금전적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상대방이 있다'는 답은 33.4%에 그쳤다.


이에 보고서는 개인연금 활성화를 위한 세제혜택 강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보험업계를 통해 판매되는 연금저축(세제적격) 시장규모는 세제혜택이 소득공제에서 세액공제로 변경된 2014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고, 은퇴준비자는 현행 연금저축보험의 세액공제율(13.2%)과 세액공제 한도금액(400만원)이 높아지길 희망한다는 분석이다.


보험개발원 관계자는 "소득이 자산보다 노후 생활비에 더 중요한 요인"이라며 "여유 있는 노후를 위해서는 연금저축, 저축성 보험 등을 통한 다양한 노후 소득원천의 확보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유은희 기자 reh@]



<ⓘ보험일보(www.insura.net) 제공>